[네트워크]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
카테고리 없음
1. 서브넷하나의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서브넷은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된 작은 네트워크 이고,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작업을 서브넷팅이라고 한다. 2. 서브넷팅의 원리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중 호스트 ID를 쪼개는 방식이다.쪼개는 개수(서브넷의 개수)가 적을 수록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가 많아진다. (= 서브넷팅을 한다는 것은 호스트 ID 부분의 비트를 가져와 서브넷 ID로 더 많은 비트를 사용하는다는 의미이다.) 3. 서브넷 마스크IP 주소를 서브넷팅하면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렵다. 이때 서브넷 마스크가 구분자 역할을 한다.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표현했을 때, 연속된 ‘1’의 비트는 네트워크 주소 부분을, 연속된 ‘0’의 비트는 호스트 주소 부..
[네트워크]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방식
·
CS/네트워크
1. 브로드캐스트같은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전달한다. 2. 유니캐스트1:1 통신으로 여러 대의 컴퓨터가 있을 때 특정한 1대의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상대방의 MAC 주소가 필요하다. 3. 멀티캐스트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를 섞은 방식이다.특정 그룹을 지정해서 그 그룹에 해당하는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보낸다.
[자료구조]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
CS/자료구조 & 알고리즘
1. 리스트의 한계중간에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할 경우 뒤 데이터의 이동(shift)이 필요함리스트에 얼마나 원소가 들어올 지 예상할 수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데이터가 관리될 수 있음 2. 연결 리스트리스트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각 노드는 데이터와 링크로 구성되어 링크에 다음 노드 정보를 저장함가장 앞의 노드는 헤드 노드, 가장 뒤의 노드는 테일 노드라고 하고 테일 노드의 링크는 none으로 비워둠헤드 포인터는 헤드 노드의 주소를 저장하는 가장 중요한 정보 3. 종류단순 연결 리스트각 노드는 하나의 링크만 가지며 다음 노드의 주소를 가리킴테일 노드의 링크에는 none 저장원형 연결 리스트테일 노드의 링크에 헤드 노드의 주소를 넣어 헤드 노드를 가리키게 함아무 노드에서 시작해도 링크를 타고 이동하면..
[네트워크] IP 주소의 구조와 클래스
·
CS/네트워크
1. IP 주소의 구조네트워크 ID화 호스트 ID로 구분한다.호스트 ID는 라우터에 연결된 개별 컴퓨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네트워크 ID는 컴퓨터가 많을 경우 관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범위를 지정해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 2. IP 주소의 클래스공인 IP 주소에는 A부터 E까지 5개의 클래스가 있다. D와 E는 일반인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A~C 클래스만 유효하다.A 클래스0네트워크 ID호스트 ID호스트 ID호스트 ID0~1270~2550~2550~255첫 8비트는 네트워크 ID 나머지 24비트는 호스트 ID이다.컴퓨터에 할당할 수 있는 IP가 가장 많다.가장 앞 자리는 0으로 고정이다.B 클래스10네트워크 ID네트워크 ID호스트 ID호스트 ID128~1910~2550..
[네트워크] IP 주소
·
CS/네트워크
1. IP(Internet Protocol) 주소인터넷 상에 있는 고유한 주소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내 컴퓨터가 연결되며 공인 IP가 부여도니다.공인 IP: 전 세계적으로 고유하게 할당되는 주소. 유동적으로 할당된다.사설 IP: 주로 기업 내부에서 사용되는 주소. 기업 밖의 컴퓨터와는 통신이 되지 않는다. 2. IP 주소 표현 방식 길이는 4바이트(=32비트)이다.10진수로 표현할 때는 1바이트 별로 마침표로 분리한다.1바이트가 나타낼 수 있는 값의 범위는 0~255이다.마지막 1바이트의 0과 255는 용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컴퓨터의 IP로 사용하지 않는다.마지막 1바이트가 0인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칭하기 위해 사용한다. (= 같은 대역을 사용한다...
[네트워크] 전송 방향에 따른 통신 방식
·
CS/네트워크
1. 단방향 통신채널이 하나만 있어 일방 통행만 가능한 통신TV, 라디오에서 주로 사용 2. 반이중 통신양쪽 방향에서 통신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통신할 수는 없다.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며 주로 허브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채널을 하나만 사용하기 때문에 충돌의 가능성이 남아있다. (충돌 도메인이 존재) 3. 전이중 통신채널을 2개 두어서 양쪽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스위치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
·
CS/네트워크
1. 스위치허브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허브에 물려 있는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가 전달된다.스위치는 소규모 네트워크 안에서 컴퓨터, 프린터 등 모든 장치를 서로 연결해서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돕고 수신하고자 하는 컴퓨터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OSI 7 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주로 작동하며 프레임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2. 스위치에서 MAC 테이블 관리스위치는 포트에 연결된 컴퓨터의 MAC 주소를 테이블 형태로 관리한다.플러딩: 스위치에 물려있는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낸다.(특정 컴퓨터의 MAC 주소가 아직 없는 경우 진행, 아직은 허브처럼 작동 함)MAC 주소 필터링: 목적지 MAC 주소가 MAC 주소 테이블에 있고, 해당 MAC 주소가 프레임을 수신한 포트와 동일한 포..
[네트워크] MAC 주소
·
CS/네트워크
1.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랜 카드에 할당된 값이며 전 세계에서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 고유한 값이다.MAC 주소는 48비트로 표현된다. 상위 24비트는 OUI로 이후 24비트는 UAA로 구성된다.OUI: 랜 카드 제조사에 부여된 코드UAA: 제조사가 랜 카드에 부여한 고유 번호MAC 주소는 8비트 단위로 콜론이나 하이픈을 사용해 16진수로 표기한다. 2. 프레임 구조유형: IPv4, ARP, IPv6 등 프로토콜 정보IPv4: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32비트 IP 주소IPv6: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128비트 IP 주소ARP: IP 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 3. ARP 과정'컴퓨터 a가 컴퓨터 b(IP: 192.168.0.3)에게 데이터를 전..
[네트워크] 이더넷
·
카테고리 없음
1. 이더넷다수의 컴퓨터, 허브, 스위치 등을 하나의 인터넷 케이블에 연결한 네트워크 구조이다.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CSMA/CD2개 이상의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프레임)를 보내는 상황을 충돌이라고 한다.충돌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더넷에서는 전류의 강도를 확인해 케이블이 사용 중인지 확인하는데 이것을 CSMA/CD 방식이라고 한다.송신 전에 케이블이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고(전류의 강도 세기 확인), 사용 가능하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전송 후에도 여전히 발생할 수 있는 충동을 확인한다.현재는 2계층의 스위치 장비가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1-persistent케이블이 사용중인지 계속 확인하다가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면 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충돌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