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의 표현
7계층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데이터, 메시지 |
6계층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
5계층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
4계층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세그먼트: 포트 번호 |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패킷: 송수신자의 IP 주소 |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프레임: 송수신자의 MAC 주소, 트레일러 |
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비트 |
- 한 단계씩 아래로 내려가면서 통신을 위한 정보가 하나씩 추가로 붙게 된다.
- 포트 번호: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번호
- IP 주소: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치에 부여된 고유 주소,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하면 할당받는 주소
- MAC 주소: 하드웨어 장치에 할당된 고유 번호, 컴퓨터를 구매할 때부터 할당됨
- 트레일러: 전달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
2. 캡슐화와 역캡슐화
- 캡슐화(Encapsulation)는 송신측에서 계층에 따라 7계층에서 1계층까지 정보를 담은 헤더를 데이터에 붙여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 반대로 역캡슐화(Decapsulation)는 수식측에서 헤더 정보가 하나씩 벗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각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물리 계층 장비 (0) | 2025.04.03 |
---|---|
[네트워크] 물리 계층 (0) | 2025.04.02 |
[네트워크] TCP/IP 4 계층 (0) | 2025.02.24 |
[네트워크] OSI 7 계층 (0) | 2025.02.19 |
[네트워크] 네트워크 분류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