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네트워크] 전송계층의 역할

초오오이 2025. 5. 2. 16:11

 


 

 

1. 전송계층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과 컴퓨터가 제대로 데이터를 받았을 경우 어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해야하는지를 식별하는 역할

 

2. 오류점검 방식

혼잡 제어

  •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정보량을 조절하여 네트워크가 혼잡해지지 않게 조절하는 방법이다.
    • 송신자는 먼저 하나의 데이터만 보내고 수신자 측에서 ACK가 오면 전송량을 2배씩 증가시켜나간다.
    • 타임아웃(프로그램이 특정 시간 내에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아서 진행이 자동적으로 중단되는 것)이 발생하면 여러 개 보냈던 데이터를 줄여서 보낸다.
    • 동일한 ACK를 여러 번 받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줄여서 보낸다.
    • 이후 정상적인 ACK를 받게 되면 또다시 데이터를 배수로 전송한다.

흐름 제어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정지-대기 방식과 동일하다.
  • 송신자가 하나의 데이터를 전송한 후 다음 데이터를 전달하기 전에 확인 응답을 기다리는 방법이다. ACK를 받아야지 다음 데이터를 보낸다.

오류 제어

  • 확인 응답: 수신자 측으로부터 ACK라는 응답을 받아야 하지만 ACK가 없다면 오류로 판단한다.
  • 시간 초과: 특정 시간 내에 ACK가 없으면 세그먼트 오류가 있다고 판단한다.
  • 데이터를 재전송해야 하는 상황
    • 데이터가 중간에 손실 되었을 때
    • 데이터 순서가 바뀌었을 때
    • 데이터가 훼손되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