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DNS 서버

2025. 5. 14. 15:00·CS/네트워크

 


 

1.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 이름(예: http://www.example.com)을 컴퓨터가 실제로 통신할 수 있는 IP 주소(예: 93.184.216.34)로 변환해주는 역할
  •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하여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과 컴퓨터가 이해하는 IP 주소 사이를 연결해준다.

 

2. DNS 동작 방식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브라우저와 운영체제, 그리고 네트워크 상의 여러 DNS 서버들이 협력하여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낸다.
  • 브라우저 캐시 → 운영체제 캐시 → 로컬(리졸버) DNS 서버 → 루트 DNS 서버 → TLD(Top-Level Domain) DNS 서버 → 권한(Authoritative) DNS 서버 순으로 진행
  • 최종적으로 권한 DNS 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실제 IP 주소를 알려주면, 이 정보가 다시 브라우저로 전달되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3. 3단계 질의

  • 1단계 질의: 루트
  • 2단계 질의: 요청하려는 웹사이트가 .com인지 .net인지 확인
  • 3단계 질의: 요청하고자 하는 IP 주소를 질의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SMTP와 POP3 프로토콜  (0) 2025.05.24
[네트워크] DHCP 서버  (0) 2025.05.23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  (0) 2025.05.13
[네트워크] 응용 계층의 역할  (0) 2025.05.12
[네트워크] 전송계층의 로드 밸런서  (0) 2025.05.09
'CS/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네트워크] SMTP와 POP3 프로토콜
  • [네트워크] DHCP 서버
  • [네트워크] HTTP 프로토콜
  • [네트워크] 응용 계층의 역할
초오오이
초오오이
  • 초오오이
    초이
    초오오이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1)
      • PHP (4)
      • Laravel (7)
      • Vue.js (5)
      • CS (73)
        • WEB (1)
        • 컴퓨터 구조 (12)
        • 운영체제 (24)
        • 네트워크 (24)
        • 자료구조 & 알고리즘 (12)
      • etc (6)
        • 자격증 (3)
  • 인기 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0
초오오이
[네트워크] DNS 서버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